제가 사용할 리눅스는 ubuntu-18.04 입니다.
우분투에서 서버를 구축하기에는 불편한 부분들이 많지만 진행하겠습니다.
가상환경에서 하고 프로그램은 VMware14를 사용합니다. 다른걸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리눅스 환경은 이미 만들어 있다고 생각하고 진행하겠습니다.
MRTG의 동작원리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아도 랜카드에서는 보내고 받은 기록을 자동으로 합니다.
이 기록을 주기적으로 읽고 변화량을 측정하면 속도가 계산이 되는데 이 속도 값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 MRTG입니다.
ifconfig 오류
ifconfig를 찾을 수 없다고 net-tools를 인트톨하라고 알려줍니다.
apt install net-tools
MRTG 설치 및 기본 설정
MRTG 혼자 작동하여 그래프를 보여 주는것이 아니고 SNMP가 주는 정보를 가공하는 형태이기에 SNMP의 설치가 필수입니다.
SNMP는 Client/Server모델 기반으로 운용이 되고 Client는 Manager라고 하며 이 Manager가 탑재되어 응용프로그램(예,MRTG)이 돌아가는 시스템은 네트웍관리시스템이라고 합니다.
SNMP 설치
#apt-get install snmp snmpd
MRTG 설치
#apt-get install mrtg
경고 메시지가 나오는데 엔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설정되고 파일 권한을 바꾸지 말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SNMP 명령어가 노출되기에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인데 따로 이상한 걸 건드리지 않는 이상 문제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SNMP의 로컬 권한 허용 설정
#vi /etc/snmp/snmpd.conf
또는
sudo vi /etc/snmp/snmpd.conf
저는 vi 말고 텍스트 에티터로 했습니다. 편한데로 하면 됩니다.
주석(#)만 지워주고 저장해주시면 됩니다.
적용을 위해 SNMP 서비스 재시작
#service snmpd restart
MRTG 환경설정 생성
#cfgmaker punlic@localhost > /etc/mrtg.cfg
MRTG는 웹서버 위에서 웹사이트 형태로 출력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 서버 만드는 글을 먼저 썼어야 했는데
순서가 망했네요..
MRTG를 출력할 파일로 이동 후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MRTG출력 경로 설정
#vi /etc/mrtg.cfg
MRTG 인덱스 페이지 만들기
#indexmaker /etc/mrtg/cfg > /설정한 웹서버 실행위치
그러면 index.html 페이지 하나가 생성됩니다.
(순서를 잘못만들어서 이부분과 다음 부분은 다음 글이 나오면 수정 하겠습니다.)
cfgmaker과 indexmaker는 mrtg 패키지에 있는 명령어 입니다.
MRTG 실행
env LANG=C /usr/bin/mrtg /etc/mrtg.cfg
자동실행 찾기
#cat /etc/cron.d/mrtg
자동으로 실행이 되지 않는다면
#vi /etc/crontab
/etc/cron.d/mrtg의 내용을 맨밑에 추가 해줍니다.
사실 토이프로젝트가 아니라 대학교 졸업작품을 하던 거였습니다....
프로젝트를 하자고 한 사람이 취업이라는 탈주를 해서.. 그만 프로젝트가 터져버렸습니다...ㅠㅠ
언제 다시 프로젝트를 진행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새롭게 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곳 올리겠습니다.